'30대女 자살충동 男의 2배…팬데믹 때 가장 높아, 이유는?'에 해당되는 글 1건

반응형



30대女 자살충동 男의 2배…팬데믹 때 가장 높아, 이유는?
눈치보여 정부 정신건강 지원사업 이용마저 꺼린 것으로 조사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자살 충동을 경험한 30대 여성의 비율이 동년배 남성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정신건강지원사업을 알고 있었지만, 이들 가운데 80% 이상은 주변 눈치가 보인다는 등의 이유로 자살예방센터와 같은 정부 정신건강 지원사업 이용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제도의 개선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24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코로나 발생 후 젠더적 관점의 여성 정신건강 현황과 정책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성인 남성 500명과 여성 700명 등 총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시기(2020∼2021년)에 자살 충동을 경험한 30대 여성은 32.4%로, 남녀를 통틀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30대 남성이 느낀 자살 충동 경험은 절반 수준인 17.9%였다.
전체 연령대에서 자살 충동을 느낀 남성(18.2%)과 여성(18.7%)의 비율은 엇비슷했지만, 유독 30대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여성은 30대, 20대(23.5%), 40대(21.6%), 50대(14.7%), 60대(11.5%) 순이었고, 남성은 20대(31.0%), 40대(19.1%), 30대, 50대(15.8%), 60대(11.9%) 등이었다.
최근 1년간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음을 의미하는 ‘우울감 경험률’에서도 30대 여성은 전 계층에서 가장 높은 65.7%로 집계됐다. 동년배 남성은 전 계층에서 가장 낮은 35.9%로 집계됐다.
덧붙여 전체 남성과 여성의 우울감 경험률은 각각 44.0%, 57.4%였는데, 코로나19 당시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한 222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고려했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은 것(중복 응답)은 남녀 모두 ‘경제적 변화'(남성 48.4%·여성 56.5%)를 꼽았다.
30대 남성과 여성도 각각 64.3%, 66.7%였다. 다만, 주민센터나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등 정부가 운영하는 정신건강 지원사업의 존재를 인지한 664명 가운데 이를 이용한 남성과 여성은 각각 17.9%, 16.1%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 시기에는 더 이 비율이 줄어들어 9.1%, 6.9%에 그쳤다.
이용하지 않은 사람들은 남녀 모두 ‘우울감·자살 충동 등 정신적 어려움이 특별히 없어서'(남성 37.2%·여성 27.5%)가 가장 많았다. 두 번째 이유로 남성은 ‘어떠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잘 몰라서'(21.9%)를 꼽았다. 그러나 여성은 ‘주변 시선이 부담돼서'(20.1%)를 택했다. 남성(9.5%)의 두 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40대 여성이 지원받지 않으려는 가장 큰 이유로 이것을 든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코로나19 시기 스트레스나 우울 증상 경험이 30대 여성에게서 유독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기혼여성의 미취학 아동 돌봄 부담이 가중되면서 일·가정 양립으로 갈등 현상이 심화한 데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주변 시선이 부담스러워 정부의 정신건강지원센터의 지원받지 않는다는 여성이 남성보다 상당히 많았다”며 “여성이 사회적 낙인을 걱정하지 않는 수준의 정신건강 서비스를 개발하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뚝딱정보

일반정보 생활정보 모든 정보사항들을 한눈에 공유 하는 블로그입니다.

,